연안군 (왕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안군 왕고는 고려 왕족으로, 충선왕의 총애를 받아 심양왕에 봉해졌으나 여러 차례 고려 왕위 찬탈을 시도했다. 그는 충선왕이 심양왕 지위를 넘겨주면서 고려 왕위 계승을 노렸고, 원나라의 지원을 받아 충숙왕, 충혜왕 등과 대립하며 정변을 꾀했으나 실패했다. 결국 왕위 찬탈에 실패하고 1345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손자인 왕특고불화가 심양왕에 임명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양왕 - 충선왕
충선왕은 고려 제26대 왕으로 즉위 후 원나라 간섭 속에서 심양왕에 봉해졌으며, 고려와 심양을 동시에 통치하는 동군연합을 이루었으나 개혁 정치는 실패하고 티베트로 유배되었다. - 심양왕 - 토크토아부카
토크토아부카는 고려 충렬왕의 4대손이자 원나라에서 동궁겁설관과 심왕을 지냈으며, 공민왕 폐위 시 고려 왕 옹립을 사양했으나 북원 멸망 후 왕위를 요구하다 거절당하고 사망과 함께 심양왕 직위가 폐지되었다. - 1345년 사망 - 정비 왕씨
정비 왕씨는 서원후 왕영의 딸로 공녀로 선발될 뻔했으나 충선왕의 요청으로 무산된 후 세자비에 책봉되었으나, 원나라의 간섭으로 인해 충선왕의 제3비가 되었으며, 자녀는 없었고 사후 정비로 추증되었다. - 1345년 사망 - 수춘옹주
수춘옹주는 충선왕의 외동딸로, 1308년 옹주로 봉해진 후 양천 허씨 허종과 혼인하여 정안부원부인에 봉해졌으며, 1345년 사망하였다. - 대립왕 - 흥안군 (1598년)
흥안군 이제는 선조의 열번째 서자이자 활달한 성격의 왕자였으나,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국청 없이 처형되었고, 위성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나 작위와 시호는 철회되었으며, 묘소는 사라졌지만 흥안대로라는 지명으로 남아있다. - 대립왕 - 이슈트반 4세
이슈트반 4세는 벨러 2세의 아들이자 게저 2세의 동생으로, 형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킨 후 비잔티움 제국의 지원을 받아 헝가리 왕위를 주장했으나, 이슈트반 3세에게 패배하고 결국 독살당했다.
연안군 (왕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왕고 |
한자 표기 | 王暠 |
다른 이름 (음차) | 완택독 (完澤禿) |
다른 이름 (몽골어) | Öljeyitü (올제이투) |
작위 | 연안군 (延安君) |
작위 (한자) | 연안군 (延安君) |
작위 (영문 번역) | Lord of Yeonan |
심왕 | 심왕 |
로마자 표기 | Wang Go |
조선어 로마자 표기 | Wang Ko |
생애 | |
출생 | 생년 미상 |
사망 | 1345년 8월 19일 (양력) |
재위 기간 | 1314년 4월 9일 ~ 1345년 8월 19일 (양력) |
가족 관계 | |
부 | 강양공 왕자 |
모 | 미상 |
배우자 | 눌륜공주 |
자녀 | 강릉대군 왕덕수, 탈탈첩본아 왕토그토아 부카 |
왕위 계승 | |
이전 | 충선왕 왕장 |
이후 | 충목왕 왕흔 |
기타 | |
가문 | 개성 왕씨 |
종교 | 불교 |
2. 생애
충선왕은 아들 충숙왕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1316년 3월 심양왕의 지위는 자신이 총애하던 조카인 연안군 왕고에게 내려주었다. 1314년 충선왕이 아들 라트나슈리(충숙왕)에게 왕위를 물려주자 왕고는 황태자로 책봉되어 인질로 원나라 조정에 보내졌다. 그러나 충숙왕이 불교승(충혜왕)을 낳자 왕고는 황태자 자리에서 물러나야 했지만, 충선왕은 대신 그에게 심왕의 자리를 넘겨주었다. 심왕의 칭호는 원래 1307년 카이산(무종)의 즉위를 지지한 공로로 카이샨에 의해 충선왕에게 주어진 것이었다. 왕고는 황족 출신인 양왕(粱王) 송산(松山)의 딸과 결혼했다.
1320년 시디발라(영종)가 즉위하자 왕고는 고려 왕이 되기 위한 계획을 시작했다. 그의 계략으로 칸은 1320년 충선왕을 티베트로 유배 보내고 1321년 충숙왕을 감금했다. 그러나 시디발라는 1323년에 암살되었고 왕고의 계획은 중단되었다.
1325년 고려로 돌아갈 수 있었던 충숙왕은 1330년 불교승에게 왕위를 물려주었지만, 불교승이 원나라에 의해 폐위되면서 2년 만에 다시 복위되었다. 1333년 왕고는 라트나슈리와 합의하여 고려로 돌아왔다.
1339년 충숙왕이 죽자 왕고는 다시 왕위를 차지하려 했지만 충혜왕에게 제압당했다. 그러나 실권을 장악한 바얀은 엘 테무르와 친분을 맺었던 충혜왕을 증오했는데, 엘 테무르의 파벌은 바얀에 의해 숙청되었기 때문이다. 바얀은 1340년 충혜왕을 투옥했다. 그 직후 바얀은 조카에 의해 추방되었고 왕고의 음모는 다시 중단되었다.
1343년 충혜왕은 체포되어 광동으로 이송되던 중 사망했다. 왕고는 왕 노릇을 잠시 했다. 충혜왕의 어린 아들 파드마 도르지(충목왕)가 충혜왕 사후 왕위에 올랐다. 왕고는 고려로 돌아왔지만 다음 해인 1345년에 사망했다.
1354년 왕고의 손자 특고불화가 심왕으로 임명되었다. 1356년 올제이 쿠투그 카툰은 그가 고려 왕이 되기를 원했지만 그는 제안을 거절했다. 공민왕이 1374년 사망했을 때 몽골의 원나라는 그를 다시 임명하려 했고 고려의 한 파벌이 이 계획을 환영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2. 1. 초기 생애
연안군 왕고(延安君 王暠)의 고려 이름은 고이고, 몽골식 이름은 완택독(完澤禿, 욀지이트/ᠥᠯᠵᠡᠶᠢᠲᠦmn)인데 이는 몽골어로 축복받은, 수복, 강녕을 뜻한다. 아버지는 충렬왕의 적장자로 왕위 계승권에서 밀려난 정신부주 소생 강양공 왕자였고, 할머니의 이름은 미상이다. 충선왕은 배다른 삼촌이 되고, 충숙왕과 공민왕은 사촌 형제간이었다. 또한 형제 연덕부원대군 훈의 딸 국대비 왕씨가 양양공 서의 5대손 정원군 균과 결혼, 34대 공양왕의 생모가 된다. 따라서 공양왕에게도 외종조부가 된다.충선왕은 그를 총애하여 궁궐에 데려다놓고 아들처럼 길렀으며 관직을 내렸다. 왕고가 성장하자 충선왕은 연안군에 봉했다.
심양왕과 고려의 국왕직을 겸했던 충선왕은 한때 아들 충숙왕 대신 왕고에게 고려 왕위를 넘겨주려 했으나 실패했다. 충선왕은 1313년에 고려 국왕의 지위만 아들 충숙왕에게 넘겨주고, 1316년 3월 심양왕의 지위는 자신이 총애하던 조카인 연안군 왕고에게 분리해서 내려주었다.
2. 2. 심양왕 계승과 충숙왕과의 갈등
충렬왕의 서장자 강양공 왕자의 아들로, 고려 이름은 고이고, 몽골식 이름은 완택독(完澤禿, 몽골어:ᠥᠯᠵᠡᠶᠢᠲᠦ, Өлзийт)이다. 몽골식 이름은 축복받은, 수복, 강녕을 뜻한다. 충선왕은 그를 총애하여 궁궐에 데려다놓고 아들처럼 길렀으며 관직을 내렸다. 후에 왕고가 성장하자 충선왕은 연안군에 봉했다.심양왕과 고려의 국왕직을 겸했던 충선왕은 한때 아들 충숙왕 대신 왕고에게 고려 왕위를 넘겨주려 했으나 실패했다. 충선왕은 1313년에 고려 국왕의 지위만 아들 충숙왕에게 넘겨주고 1316년 3월 심양왕의 지위는 자신이 총애하던 조카인 연안군 왕고에게 분리해서 내려줌에 따라 고려 국왕과 심양왕 사이에 갈등이 시작되었다. 연안군은 고려의 왕위를 노렸고 충숙왕은 자신이 심양왕이며 연안군에게는 심양왕 세자라 칭하였다. 그러나 충선왕은 연안군이 눌륜공주의 부마라는 점을 근거로 들어 연안군에게 심양왕위를 주었고, 반대로 충숙왕도 계속 그에게 심양왕의 자리를 요구하였다.
1320년 시디발라(영종)가 즉위하자 왕고는 고려 왕이 되기 위한 계획을 시작했다. 그의 계략으로 칸은 1320년 충선왕을 티베트로 유배 보내고 1321년 충숙왕을 감금했다. 그러나 시디발라는 1323년에 암살되었고 왕고의 계획은 중단되었다.
1339년 충숙왕이 죽자 왕고는 다시 왕위를 차지하려 했지만 충혜왕에게 제압당했다. 그러나 실권을 장악한 바얀은 엘 테무르와 친분을 맺었던 충혜왕을 증오했는데, 엘 테무르의 파벌은 바얀에 의해 숙청되었기 때문이다. 바얀은 1340년 충혜왕을 투옥했다. 그 직후 바얀은 조카에 의해 추방되었고 왕고의 음모는 다시 중단되었다.
2. 3. 정변 시도와 실패
1320년(충숙왕 7년) 연안군은 원나라에서 영종이 즉위하자 그의 신임을 얻고 고려의 왕위를 넘보게 되었다. 당시 고려 조정에서는 권한공(權漢功), 채홍철(蔡洪哲), 채하중(蔡河中)·조적(曺적) 등이 그를 추대하려 하였으며 이들은 심왕당(瀋王黨)을 만들어 연안군을 고려 왕으로 옹립하고자 했다.1321년 충숙왕은 정사를 게을리 한다는 심왕당의 참소를 받고 원나라에 소환, 대도로 압송되어 고려 국왕인(國王印)을 빼앗기고 구류되다시피 하여 국왕으로서의 행세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 이 기간 중에 연안군은 고려 국왕 행세를 하였다. 그러나 1323년 원나라에서 영종이 살해되고 태정제가 즉위하자 태정제는 충숙왕에게 국왕인을 돌려주었다. 충숙왕이 귀국하여 왕고는 다시 심양으로 돌아갔고 심왕당의 세력은 수그러졌다.
1328년(충숙왕 15) 7월 연안군은 충숙왕 폐위를 기도했으나 실패하고 반란은 진압되었다. 요왕 탈탈은 원나라로 소환돼 원나라의 황족들에 의해 죽임당했다. 같은 해 연안군의 장인 양왕 송산(梁王 松山)은 자신의 친척 태평왕(太平王) 연첩목아(燕帖木兒)와 유림(柳林)에서 싸우다가 패하여 죽었다. 이로서 그의 정변기도는 실패했다.
1339년(충숙왕 복위 8) 충숙왕이 사망하자 연안군은 다시 원나라의 유력자인 바얀(伯顔)의 후원을 받아 고려 왕위를 차지하고자 충혜왕과 대립했다. 이에 심왕당은 충혜왕의 궁을 습격하는 등 치열한 싸움을 벌였으나, 충혜왕이 승리하고 연안군 옹립운동은 다시 좌절되었다.
2. 4. 생애 후반
1344년 다시 충혜왕이 죽고 어린 충목왕이 즉위하자 연안군은 다시 고려의 왕위를 차지할 계획을 세웠으나 원나라 황실을 등에 업은 덕녕공주의 제지로 쿠데타 기도는 사전에 무산되었다. 연안군은 1345년 심양에서 사망하였다.1343년 충혜왕은 체포되어 광동으로 이송되던 중 사망했다. 왕고는 왕 노릇을 잠시 했다. 충혜왕의 어린 아들 파드마 도르지(충목왕)가 충혜왕 사후 왕위에 올랐다. 올제이투는 고려로 돌아왔지만 다음 해에 사망했다.
1354년 올제이투의 손자 특고불화가 심왕으로 임명되었다. 1356년 올제이 쿠투그 카툰은 그가 고려 왕이 되기를 원했지만 그는 제안을 거절했다. 공민왕이 1374년 사망했을 때 몽골의 원나라는 그를 다시 임명하려 했고 고려의 한 파벌이 이 계획을 환영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원종 | 1219년 ~ 1274년, 재위 1259년 ~ 1274년 |
조부 | 충렬왕 | 1236년 ~ 1308년, 재위 1274년 ~ 1298년, 복위 1299년 ~ 1308년 |
조모 | 정화공주 | |
아버지 | 강양공 | ? ~ 1308년 |
형 | 심양왕 | 1307년 또는 1308년 ~ 1310년 |
형 | 연덕부원대군 왕훈 | |
형 | 왕유(단양부원대군) | |
조카 | 양원군 | 이름 미상 |
부인 | 눌륜공주 | ? ~ 1328년, 원나라 양왕 송산(梁王 松山)의 딸 (계국대장공주의 조카) |
장인 | 양왕 송산 | |
처남 | 양왕 왕선 | |
아들 | 왕덕수(강릉대군) | |
손자 | 톡타부카(탈탈불화) | 1310년 ~ 1388년 |
손자 | 테그부카 | |
손자 | 위타불화 | |
아들 | 탈탈첩본아 |
개성왕씨 성원록에 의하면 아들 강릉군 덕수 외에도 탈탈첩본아라는 아들이 있었다 한다. 장남 강릉군의 생몰년과 행적은 미상이다.
4. 기타
2013년부터 2014년까지 MBC TV 드라마 《기황후》에서 이재용이 연기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